임종호 교수

장애인복지 전공

  • jhim@halla.ac.kr
  • 033-760-1573
  • R516-0

김미영 교수

정신보건사회복지 전공

  • mykim@halla.ac.kr
  • 033-760-1498
  • R519-0

이경원 교수

노인복지 전공

  • kyeongwon.lee@halla.ac.kr
  • 033-760-1499
  • R515-0

조수민 교수

프로그램평가, 사회복지통계 및 조사 전공

  • soomin.cho@halla.ac.kr
  • 033-760-1810
  • R513-0

최경일 교수

학교사회복지, 청소년복지, 사회복지실천 전공

  • kichoi@halla.ac.kr
  • 033-760-1576
  • R517-0

임세와 교수

아동권리, 아동복지, 사회복지정책 전공

  • sewa.im@halla.ac.kr
  • 033-760-1567
  • R524-0

권미자 교수

아동안전관리 전공

  • anti1143@hanmail.net
  •  
  •  

윤영애 교수

학교사회복지론, 청소년복지론 전공

  • sove2368@hanmail.net
  •  
  •  

안혜랑 교수

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전공

  • calla0071@nate.com
  •  
  •  

상세보기

임종호 교수

장애인복지 전공

  • jhim@halla.ac.kr
  • 033-760-1573
  • R516-0

학력

  •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

주요 저서

  • 장애인복지론
  • 사회문제론
  • 사회복지역사
  • 사회복지개론

상세보기

김미영 교수

정신보건사회복지 전공

  • mykim@halla.ac.kr
  • 033-760-1498
  • R519-0

학력

  •           現)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
  • 2011.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

주요경력

  •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이사
  • 한국의료사회복지학회 이사
  •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위원/편집위원
  • 강원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이사
  • 강원명진학교 이사
  •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 위원
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치매전문교육 전문강사
  • 원주시 장기요양등급판정위원회 위원
  • 원주시 장기요양기관지정심사위원회 위원
  • 원주시의회 인사위원회 위원
  • 강원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 운영위원
  • 강원남부해바라기센터 운영위원/자문위원
  • 강원남부하나센터 운영위원
  • 원주시드림스타트 자문위원
  •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조교수
  •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
  •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의료사회복지사
  • 삼성서울병원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

전공 분야

  • 사회복지실천
  • 정신건강사회복지
  • 의료사회복지

자격사항

  • 사회복지사 1급
  • 정신건강사회복지사 2급
  • 중독전문사회복지사 1급
  • 심리상담가 1급

상세보기

이경원 교수

노인복지 전공

  • kyeongwon.lee@halla.ac.kr
  • 033-760-1499
  • R515-0

학력

  • 2021.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
  • 2014.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
  • 2007. 해군사관학교 외국어학과 학사

주요경력

  • 2023. - 현  재 한라대학교 성과관리본부 교육성과인증센터장
  • 2021. - 2022.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실 연구위원
  • 2019. - 2020. 한국여성재단 미래포럼 사무국장
  • 2014. - 2016. 서울노인복지센터 사회복지사

대외 활동

  • 현    재 원주시 건강생활실천협의회 위원
  • 현    재 원주시 평가위원회 위원
  • 현    재 원주시 생활보장위원회 위원
  • 현    재 강원지역 노인복지관 평가위원

연구논문

  • 2024. Validation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for Korean older adults using item response theory, Journal of Health Psychology(SSCI)
  • 2024.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-revised in disaster victims using the Rasch model,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(SSCI)
  • 2024. Advancing SDG 16 through political participation on social media: A Comparative Study of Social Capital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, Igee Proceedings.
  • 2023. 학교사회복지사의 강점관점 실천 성과에 관한 연구, 학교사회복지(KCI)
  • 2023. Types of co-occurring patterns of mental health among the disaster victims in South Korea,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(SSCI)
  • 2022.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Rosenberg Self-Esteem among older Korean adults, Current Psychology(SSCI)
  • 2022. 세계시민의식 척도의 국내 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, 사회과학연구(KCI)
  • 2022.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의 활동적 노화 척도 개발 및 타당화: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, 한국노년학(KCI)
  • 2021.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CESD-11 우울 척도의 타당화 검증, 정신건강과 사회복지(KCI)
  • 2021.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 척도 타당화 연구: 라쉬 모형 적용, 노인복지연구(KCI)
  • 2021.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타당화, 한국가족복지학(KCI)
  • 2021. COVID-19 감염 확산 대응조치에 따른 노인복지관 서비스 제공방식의 변화, 한국노년학연구(KCI)
  • 2021. 빈곤원인 인식 척도 타당화 연구: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적용, 사회보장연구(KCI)
  • 2021. 중·고령층의 사회적지지 척도 타당화 문항반응이론 적용, 사회복지연구(KCI)
  • 2021. 다문화 가정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: 공동운명모형(CFM)을 적용한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분석, 한국가족복지학(KCI)
  • 2021.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과 분류 예측요인 탐색연구: 잠재프로파일과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하여,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(KCI)
  • 2021.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척도 타당화, 청소년복지연구(KCI)
  • 2021. 장기요양요원의 근로실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, 장기요양연구(KCI)
  • 2020. 자살사별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: 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, 복지상담교육연구(KCI)
  • 2019. 인터넷 사회적 자본 척도(ISCS)의 국내 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, 사회과학연구(KCI)
  • 2019. 청년층 실업과 우울의 관계에서의 음주의 조절효과: 성별 차이 분석, 대한보건연구(KCI)
  • 2018. 헤도니아와 유데모니아 차원에서 분석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, 사회복지연구(KCI)
  • 2018. 한국어판 전반적 헤도니아-유데모니아 직무만족 (K-GHEJS) 척도 타당화: 행복 척도 국내 적용을 위한 사회복지직 대상 연구, 사회복지연구(KCI)
  • 2018. 인터넷 사회적 자본 척도(ISCS)의 국내 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, 사회과학연구(KCI)

저서

  • 2018. 사회복지사의 유데모니아, 집문당

상세보기

조수민 교수

프로그램평가, 사회복지통계 및 조사 전공

  • soomin.cho@halla.ac.kr
  • 033-760-1810
  • R513-0

학력

  • 2016.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
  • 2006.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
  • 2002.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

주요경력

  • 2024. - 현  재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장
  • 2022. - 현  재 한라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장
  • 2019. - 2021.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후연구원
  • 2007. - 2011. 월드비전 국내사업팀

대외 활동

  • 2020.             마포고용복지센터 사업 자문위원
  • 2022.            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편집분과 위원
  • 2022.           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이사
  • 2022.             보성복지재단 이사
  • 2022. - 현  재 원주종합사회복지재단 이사
  • 2022. - 현  재 강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분과실행위원회 위원
  • 2023.             학생맞춤형통합지원사업 컨설턴트
  • 2023. - 2024.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장
  • 2024.            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대외협력위원장
  • 2024.             한국사회복지학회 대외협력분과 위원
  • 2025. - 현  재 한국아동권리학회 편집위원
  • 2025. - 현  재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윤리분과위원
  • 2025. - 현  재 포용과 사회통합연구 편집위원

연구논문

  • 2024.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프로그램 성과연구-‘뷰티풀라이프’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, 한국가족복지학(KCI)
  • 2024. 청소년 비대면 문화예술활동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: SM엔터테인먼트 스마일 뮤직 페스티벌을 중심으로, 청소년문화포럼(KCI)
  • 2023.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연구, 인문사회21(KCI)
  • 2022. 학교사회복지사의 강점관점 실천 성과에 관한 연구, 학교사회복지(KCI)
  • 2023. Types of co-occurring patterns of mental health among the disaster victims in South Korea,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(SSCI)
  • 2022.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, 전공 만족, 임금 눈높이가 사회복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강원도 원주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, 한국사회복지교육(KCI)
  • 2022. 청소년의 학교행복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-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다중가산조절효과를 중심으로, Crisisonomy(KCI)
  • 2022. 아동그룹홈 재정지원 개선 방안 연구, 한국융합학회지(KCI)
  • 2021. 기초학습지원사업을 통한 아동의 다면적 변화 과정에 대한 탐색 연구 – 지도 교사 면접 결과를 중심으로, 열린교육연구(KCI)
  • 2021.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아동 행복 관련 기사분석, 한국아동복지학(KCI)
  • 2021. 알코올중독자의 A.A. 몰입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: 성별 및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,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(KCI)
  • 2020.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 유형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, 청소년복지연구(KCI)
  • 2018. 또래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: 가정외보호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, 청소년복지연구(KCI)
  • 2017.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: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, 학교사회복지(KCI)
  • 2017. 저소득 취약계층 청소년을 위한 오케스트라 사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, 사회복지연구(KCI)
  • 2016.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, 청소년복지연구(KCI)
  • 2015. 가정외보호아동의 친부모 애착이 우울, 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-Ping의 2단계 접근방식을 적용한 긍정적 대리양육자 관계의 조절효과, 한국아동복지학(KCI)
  • 2014. 결식 경험이 신체건강,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, 청소년복지연구(KCI)

연구성과

  • 2025.             학생주도형 봉사활동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, 인천시교육청
  • 2024.             학생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생주도형 프로그램 개발 연구, 인천시교육청
  • 2023.             원주권 필수보건의료 관련 정책자원 조사 연구, 원주의료원
  • 2021. - 2022. 경력단절여성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, 공동모금회
  • 2022.             행복나눔 교육복지사업 업무 매뉴얼 개발 연구, 강원도교육청
  • 2021.             단구동 마을관리소 사업 디자인을 위한 지역사회 욕구조사, 원주 밥상공동체종합사회복지관
  • 2021.             2022년도 보건복지 분야 예산안 분석 연구: 요보호아동 그룹홈 운영 분야,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
  • 2020.             고양시민 행복증진 지표개발연구 보고서, 고양시정연구원
  • 2019. - 2022. SM 스마일 뮤직 페스티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, SM Entertainment
  • 2019.             성인이행기 빈곤 아동·청소년 발달지원사업 희망플랜 연구보고서: 사업평가 및 실천모델 연구, 한국사회복지관협회
  • 2019.             고양시 장애 인식 개선 방안연구, 고양시정연구원
  • 2015.             기초학습 지도사업 올키즈스터디 사업성과 및 성공요인 연구보고서, 함께걷는아이들
  • 2015.             문화소외계층 아동ㆍ청소년 오케스트라 성공요인 연구보고서, 함께걷는아이들

상세보기

최경일 교수

학교사회복지 전공

  • kichoi@halla.ac.kr
  • 033-760-1576
  • R517-0

학력

  • 1997.02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학사
  • 1999.02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
  • 2008.08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

주요경력

  • 1998.08 - 2000.01 숭실대학교 부설 사당종합사회복지관 대리
  • 2000.03 - 2000.12 서울 동마중학교 학교사회사업실장
  • 2001.03 - 2004.12 서울 성원중학교 학교사회사업실장
  • 2005.01 - 2008.08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사무국장, 기획위원
  • 2007.03 - 2008.08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
  • 2008.09 - 현      재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

전공분야

  • 학교사회복지
  • 청소년복지
  • 사례관리
  • 사회복지실천

사회활동

  • 강원도교육청 교육복지 운영위원(현)
  • 원주시 드림스타트 운영위원(현)
  • 원주시 희망복지지원단 수퍼바이져(현)
  • 원주시 인재육성심의위원회 위원(현)
  • 평창군 드림스타트 수퍼바이저(현)
  •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지원사업 전문위원(현)
  •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이사(현)
  •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(현)
  • 한국아동복지학회 편집위원(현)
  • 한국미래를여는청소년학회 편집위원(현)
  • 청소년문화포럼 연구윤리위원(현)
  •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생명연구윤리위원회(IRB) 위원(현)
  • 한국관광공사 사회공헌 기부금 심의위원(현)
  • 강원랜드 학교사회복지사업 자문위원(현)
  • 원주시중앙청소년문화의집 운영위원장(현)
  • 강원특별자치도여성정책연구원 자문위원(현)
  • 한국대학평가원 인증운영위원 및 대학기관인증평가위원(현)
  • 원주교육지원청 자체평가위원(전)
  • 원주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협의체 위원장(전)
  • 원주시 시정평가위원(전)
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생명연구윤리위원회(IRB) 위원(전)
  •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분과위원(전)
  •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사(전)
  •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편집위원(전)
  • 한국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(전)
  •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편집위원(전)
  •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편집분과위원장(전)
  •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연구윤리위원장(전)
  • 청소년문화포럼 편집위원(전)
  • 학교사회복지사 제도화추진위원회 위원(전)
  • 학교사회복지 자격관리위원회 위원(전)
  • 지역아동센터 평가위원(전)
  • 육아종합지원센터 평가위원(전)
  • 사회복지사 1급 자격시험 출제위원(전)
  • 청소년지도사 2급 자격시험 출제위원(전)

학회활동

  • 현   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이사
  • 현   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사
  • 현   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편집위원
  • 현   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
  •          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부회장
  •            학교사회복지사 제도화추진위원회 위원
  •            한국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
  •          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편집위원
  •          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편집분과위원장
  •          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연구윤리위원장
  •            청소년문화포럼 편집위원

수상

  • 2014.07.06 교육부장관 표창장(제33회 스승의 날 학술진흥 분야)
  • 2015.10.23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장 공로상
  • 2018.07.01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장(국민건강보험공단 창립 기념)

저서

  • 2001.02 학교사회복지를 활용한 효과적인 학생생활지도(서울특별시교육청)
  • 2004.09 학교와 사회복지(학지사)
  • 2005.05 이웃사랑 나눔 가이드 북(사회복지공동모금회)
  • 2008.02 우리는 영원한 학교사회복지사이고 싶다(학지사)
  • 2010.03 사회복지사의 희망 이야기(학지사)
  • 2020.02 교육복지론(박영사)

수탁연구

  • 2005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학교부적응 청소년 지도 프로그램 개발(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)
  • 2007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욕구조사(서울특별시서부교육청)
  • 2010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욕구조사(강원도원주시교육청)
  • 2011.01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산촌지역 학생복지 안전망 구축사업 욕구조사(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)
  • 2010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강원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프로그램 매뉴얼(강원도교육청)
  • 2011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 학생복지 안전망 구축사업 성과연구(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)
  • 2012.0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굿네이버스 통합사례관리 성과 및 운영 평가연구(굿네이버스)
  • 2011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사 전문조사관의 성과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(법원행정처)
  • 2012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강원도 소규모ㆍ군지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모델 개발(한국교육개발원)
  • 2014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행복나눔 교육복지사업 운영 매뉴얼(강원도교육청)
  • 2016.10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행복나눔 교육복지사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연구 보고서(강원도교육청)
  • 2019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정법원의 후견ㆍ복지기능 강화를 위한 외부기관 연계와 연계담당자 운영 방안(법원행정처)
  • 2019.07 - 2021.12 행복나눔 교육복지사업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 1년차 (강원도교육청)
  • 2023.0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한국형 가정법원 조사관 모델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실증적 연구 (법원행정처)
  • 2022.07 - 2024.12 행복나눔 교육복지사업 만족도 및 성과분석 연구 (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)
  • 2024.12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강원특별법 개정방안 세부분야별 특례 및 세부사업개발 (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)

개인연구

  •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실시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(학교사회복지, 제8호)
  • 팀 접근(team approach)을 통한 학교 내 위기개입의 방향성 모색(학교사회복지, 제10호)
  • 장애학생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학급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(청소년학연구, 제14-1호)
  • 장애학생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(임상사회사업학, 제10호)
  • 한부모 가정 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(청소년학연구, 제14-4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의 가정방문 수행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(한국임상사회사업학, 제11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지역사회 협력업무 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(사회과학논총, 제10호)
  •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교사 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(청소년복지연구, 제10권 1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학교사회복지사와 부장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(사회복지연구, 38호)
  • 초․중학생들의 교육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(청소년학연구, 제15권 7호)
  • 초등학생 대상 사회복지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(학교사회복지학, 제16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(청소년복지연구, 제11권 2호)
  • 청소년의 신체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: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(한국청소년연구, 제10호)
  • 장애인가구의 근로소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-「2007 한국복지패널」 자료를 이용하여-(재활복지, 제13권 3호)
  • 아동학대 신고에 관련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: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(사회과학연구, 제26집 1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경로분석: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 간 신뢰와 협력의 매개효과(청소년복지연구, 제12권 1호)
  •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: 상사, 동료 및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(시각장애연구, 제26권 1호)
  •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: 학교문화와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(사회과학연구, 제27집 1호)
  •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(청소년복지연구, 제13권 1호)
  • 한국과 미국의 학교사회복지실 활용 실태에 관한 비교연구(학교사회복지, 제21호)
  •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: 우울과 자기보호능력을 매개로(청소년문화포럼, 30호)
  • 청소년의 우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보호요인의 매개효과(GRI연구논총, 제14권 3호)
  • 인문계 고등학생의 TV 시청시간과 인터넷 사용시간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(청소년복지연구, 제15권 제3호)
  • 초등학생의 자원봉사 동기가 복지인식을 매개로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(GRI연구논총, 제16권 1호)
  • 생태체계적 관점에 기반한 여중생의 신체상 개선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(청소년문화포럼, 39호)
  • 청소년의 일상생활 어려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(학교사회복지, 제30호)
  • 소원성취 프로그램이 소아암 및 난치병 환아들의 질병 적응에 미치는 영향: 레질리언스와 질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(한국 호스피스ㆍ완화의료학회지, 제18권 2호)
  •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차이(GRI 연구논총, 제18권 2호)
  •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친구관계와 학업태도의 매개효과: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(청소년문화포럼, 제48호)
  •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: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매개로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5권 2호)
  •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과 부모, 학생과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: 초중학생 차이를 중심으로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5권 4호)
  • 청소년의 여가활용이 학습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: 대인관계의 매개효과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6권 3호)
  •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(청소년복지연구, 제20권 1호)
  •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: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간 차이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7권 3호)
  • 영유아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: 자기-상대방 효과 모델(APIM) 활용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7권 5호)
  •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업무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사와 교육복지사의 인식(학교사회복지, 46호)
  • 학교사회복지 실천지침 개발 기초 연구(학교사회복지, 49호)
  • 교육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: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8권 5호)
  •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: 초ㆍ중학생 간 차이를 중심으로(디지털융복합연구, 제18권 7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 보수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(학교사회복지, 53호)
  •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성역할 가치가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: 경기도 거주 부모 간 차이(GRI 연구논총, 제24권 1호)
  • 코로나 19 상황에서 취약가정 학생을 위한 학교사회복지 역할(학교사회복지, 58호)
  •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아동의 행복감과 수면시간 간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검증(인문사회 21, 제13권 2호)
  •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 갈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(인문사회 21, 제13권 5호)
  • 저소득 가정 초중학생의 우울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관계와 부모-자녀관계의 매개효과(인문사회 21, 제14권 3호)
  • 학교사회복지사의 강점관점 실천 성과에 관한 연구(학교사회복지, 62호)
  •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: 자존감과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(웰니스학회지, 제18권 3호)
  • 가정법원조사관이 인식하는 외부기관 연계업무의 중요도와 실행도 연구(교정담론, 제17권 2호)
  • 취약가정 아동의 사회적 자본과 적응유연성 간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검증(웰니스학회지, 제19권 3호)
  • 소규모 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사례연구: 강원랜드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중심으로(학교사회복지, 68호)

상세보기

임세와 교수

아동권리, 아동복지, 사회복지정책 전공

  • sewa.im@halla.ac.kr
  • 033-760-1567
  • R524-0

학력
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
  •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

주요경력

  • 2018. - 2025. 유니세프 한국위원회
  • 2009. - 2016.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

대외활동

  • 2025.           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총무위원장
  • 2025.            한국다문화복지학회 교육분과위원
  • 2025.           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홍보출판위원
  • 2024.            한국다문화복지학회 연구윤리분과 위원
  • 2023.           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총무분과 위원
  • 2024. - 현 재 서울 강북구 아동복지심의위원

연구논문

  • 2022.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남한 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. 아동과 권리(KCI)
  • 2020. 아동·보호자·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수준 비교 연구: ‘아동 최선의 이익’을 중심으로. 아동과 권리 (KCI)
  • 2018.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: 역량접근에 기반하여. 열린부모교육연구(KCI)

상세보기

[정년퇴임] 정태주 교수

구조공학 전공

  •  
  •  
  •  

재임기간

  • 1995. - 2021.

상세보기

[정년퇴임] 유건선 교수

지반공학 전공

  •  
  •  
  •  

재임기간

  • 1995. - 2021.

상세보기

권미자 교수

아동안전관리 전공

  • anti1143@hanmail.net
  •  
  •  

강의 교과목

  • 아동안전관리

상세보기

윤영애 교수

학교사회복지론, 청소년복지론 전공

  • sove2368@hanmail.net
  •  
  •  

강의 교과목

  • 학교사회복지론
  • 청소년복지론

상세보기

안혜랑 교수

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전공

  • calla0071@nate.com
  •  
  •  

강의교과목

  •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

상세보기

박준영 교수

건설시스템공학 전공

  •  
  •  
  •  

학력

  • 1991. 중앙대학교 토목공학 학사
  • 2015.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석사

주요경력

  • 2005.~2006. ㈜이지엔지니어링
  • 2006. 토질 및 기초기술사 취득
  • 2006.~2019. ㈜혜인이엔씨
  • 2019. ㈜삼경

강의교과목

  • GIS 및 드론측량 실습

상세보기

장경욱 교수

건설시스템공학 전공

  •  
  •  
  •  

학력

  • 2005.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석사
  • 2010.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박사

주요경력

  • 2010. 남서울대학교 국가 R&D 연구교수
  • 2011. 명지대학교 국가R&D 연구교수
  • 2011. 한국교통안전공단 책임연구원
  • 2023. ㈜모빌인포매틱스 대표이사

강의교과목

  • 도시교통계획 및 법규
  • 첨단교통공학 및 운영